오늘은 천문학자가 쓴 산문.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라는 책을 리뷰해 볼까 합니다.소냐가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온라인 서점에 들어가 팝업으로 나온 책을 보게 되었습니다.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요즘 천문대에 다니는 우리 아이는 별에 대해 자주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트렌드서에서도 우주 산업을 언급합니다. 천문학자라는 단어에 끌렸어요.
게다가 ‘네이처’가 미래의 달과학을 이끌 과학자로 주목한 천문학자라고 적혀 있지 않을까요. 네, 저는 전문가를 존경해요. 그들만이 할 수 있는 이야기를 사랑합니다. 천문학자들은 별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하는지 매우 궁금해 하는 것입니다.
또하나저자소개를보면저자가여성이었습니다. 저번에 읽은 랩걸이라는 책이 정말 인상적이었어요. 한 여성 과학자의 이야기 그녀의 연구에 대한 열정에 감동할 수밖에 없었어요. 여성만의 서사 그것에 끌리기도 했지만 여성 특유의 감성이 울렸습니다. 이 책의 저자도 공통점이 있잖아요. 여성 과학자 그래서 더 읽고 싶어졌어요.
저는 이 책을 지하철로 읽기 시작했어요. 사실 지하철을 타고 내려 독서가 번잡함에도 불구하고 집중이 잘 되었어요. 그만큼 마음에 들어요.
무해에 대해서… 천문학자가 쓴 책이기 때문에 산문이지만 천문학 지식도 상당히 언급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 산문이어서 지식 자체보다 그것을 바탕으로 한 저자의 시선이 더 눈에 띄었습니다.
그 중에서 눈에 띄는 표현이 있었어요. ‘무해하다.’ 저자 소개에도 이런 말이 있습니다.
언제 회신될지 모르는 신호를 우주로 흘려온 우주에는 과연 ‘우리뿐일까’를 깊이 생각하는 무해한 사람들과 그들이 동경하는 하늘, 자연 그리고 우주를 동경한다.
무해하다는 말에는 순수함이 담겨 있습니다. 그 무해한 사람들을 사랑하고 그 무해한 세계에 뛰어든 사람. 그래서 무해한 사람들 중 한 명. 책을 읽는 동안 그녀의 무해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녀의 친구가 무해하고 아름다운 화가처럼 그녀도 무해하고 생각이 깊은 천문학자라고 생각했습니다.
왜 천문학을 하냐고 묻는다면…사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건 아니었다고 왠지 모르게 그렇게 됐다고 그녀는 담담하게 말합니다. 그래서 더 좋았어요. 그렇잖아요.우리의 선택도. 멋지게 이렇다 해서 분명히 말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사실은 그냥 흐름을 따라 흐르고 있기 때문에 도달하는 경우도 많거든요.
그녀가 천문학을 계속하고 있는 이유를 말하면서 언급한 이 선택이라는 단어가 저는 정말 좋았어요. 제가 자주 할 생각이거든요.
어느 쪽이든 우리에겐 용기가 필요한 법이니까요. 시작하는데도 용기가 필요하고, 계속하는 데도 용기가 필요하고, 그만두는 데도 용기가 필요합니다. 어느 쪽의 용기를 낼지는 각자의 선택. 그녀의 선택은 지속하는 쪽에 있었던 겁니다.
보이지 않는 것으로부터 배우는 우주로부터의 가르침! 어린 왕자를 보면서라도 천문학적인 지식을 떠올려야 할 운명. “어린왕자를 읽으면서 그런 걸 따지면?” 어딘가 차가운 느낌이 들지만 그녀의 글을 읽고 있으면 오히려 따뜻한 느낌이 듭니다.
어린왕자 중의 잘못된 사실을 보면 숨통이 트이는 사람이지만 연구자이기 때문에 아는 천문 지식을 바탕으로 멋진 깨달음을 얻는 사람이기도 하니까요.
보이저호 이전에는 몰랐던 우주. 그 우주가 계속 퍼지고 있는 중입니다. 그런데요, 사실 이 우주는 계속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 아닙니까. 우주뿐이 아니잖아요. 보이지 않는 곳에 존재하는 세상입니다. 이 문장이 그런 세상의 이면을 떠올리게 했습니다.
그리고요 어린왕자를 읽으면서 팩트체크를 하지만 이렇게 친절한 조언도 아끼지 않습니다. 수성에는 해가 하루에 두 번 지는 명당이 있다고 합니다. 멋지지 않습니까?
슬플 때는 해가 뜨는 걸 보기도 하거든요. 왠지 마음이 다시 밝아지는 것 같아서. 새로운 에너지가 채워지면 다시 일어날 수 있으니까요.
그 행성은 단지 그 자리에 있을 뿐… 우리 분명 어렸을 때 ‘수금지화목토천해명’ 이렇게 배웠는데 아이들에게 가르치려니 명왕성이 사라져 당황했던 기억이 없나요. 어느 날 갑자기 명왕성이 행성이 아닌 왜소행성으로 분류돼 ‘수금지화목토천해’에서 멈춰야 하게 됐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서 이런 말을 덧붙입니다.
명왕성은 겉모습 그대로 제자리에 있을 뿐이다. 우리가 어떻게 부르든 상관없어요. 이 부분에서 저는 우주가 위대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거대한 우주는 자기 자리에서 해야 할 일을 하고 있을 뿐이니까요.
당연하게도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에 더 감사했습니다. 대기도 없고 산소도 없고 오존층도 없는 행성들이 많은데. 지구는 우리가 충분히 살 수 있는 대기도 있고 산소도 있고 자외선을 막는 오존층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이렇게 편하게 이 삶을 살고 있잖아요. 얼마나 고마운 일일까요? 지구는 단지 그렇게 생겼기 때문에.
이것은 화성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우리는 지구라는 멋진 우주선을 탄 여행자들. 우리의 삶은 찬란합니다. 이렇게 찬란한 지구 위에 태어난 행운아들이니까요.
그녀도 어머니
네, 이 문장으로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어머니는 정말 다들 닮으셨네요. 천문학자라고 해도. 우리는 이렇게 항상 뛰어다닙니다. 그런데 이 글에서 차분하고 논리적인 면모를 다시 볼 수 있었어요.
그럼요. 엄마가 돌보는 게 당연한 게 아니니까 그 아무것도 엄마가 돌보는 게 당연한 이유가 될 수 없는 거죠.
‘우리’에게 보내는 감사가 책에서 과거의 천문학자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아직 아무런 도구가 없던 시절 맨눈으로 하늘을 관찰하고 기록해 주기를 발견하고 차이를 발견한 사람들. 얼마나 오랜 노력과 집중이 필요했을까요? 그렇게 이뤄낸 것들을 보고 있자니 절로 감탄이 나왔습니다. 그만큼 열심히 마음을 담는다는 게 무슨 일일까. 상상하기도 어려울 거라고 생각했어요.
고려시대에도, 조선시대에도 그런 기록들이 많이 있습니다. 많이 알려진 것은 서양 천문학 역사지만 사실 한국의 업적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아무것도 없는 것은 아닙니다.
제가소제목에우리라고표현을했어요. 이우리라는표현은이책의마지막에나오는어떤질문에대한답에서가져왔습니다. 소련과 미국은 항상 우주경쟁을 해왔잖아요. 결국은 미국이 먼저 달에 사람을 보냈는데 소련 과학자들에게 그때 기분이 어땠는지 질문했대요. 그런데 이렇게 대답했대요. ‘우리’가 사람을 달에 보내줘서 기뻤대.
이 ‘우리’는 인류 전체였던 것입니다. 미국인도, 미국항공우주국도 아니고. ‘우리’ 어쩌면 지금 우리 삶의 모든 것에 대해 우리는 ‘우리’에게 감사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또 생각을 합니다. 감사의 ‘우리’에 보답할 수 있는 ‘우리’의 일원이 되고 싶다고. 제가 무엇을 기여할 수 있을까요?
글을 마무리하려면 중요한 이야기를 아직 안 했네요. 제목이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잖아요 천문학자인데 왜 별을 안 보지? 과학자의 세계에도 분업이 있거든요. 천문학자라고 모두가 천체망원경을 조절해 직접 눈여겨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 어떤 일을 하시는지 궁금하다면 책에서 확인을.
그리고 우리 같은 보통 사람들은 그저 하늘에 뜬 것을 둥글게 말아서 별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행성 등인 것이다.게다가 이 책의 저자는 달의 과학자이기 때문에 별을 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저자가 ‘우주의 이해’라는 교양 과목을 강의하는 이야기가 책에 나옵니다. 비전공자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강의 이 강의를 듣는 친구들이 언젠가는 일식을 소재로 한 ‘해를 품은 달’ 같은 작품을 만들어 달라고 하더라고요. 그걸 보면서 아마 이 책이 한 과학자의 서사를 들여다보는 동시에 천문학에 대한 기초지식이라도 조금 알아가는 책이 되길 바라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그런 면이라면 저한테는 분명 도움이 된 것 같아요. 전혀 관심도 갖지 못했던 천문학의 세계에 대해 아주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럼 이렇게 오늘의 책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
더불어 이 책을 보면서 우리가 지구별 여행자라고 이야기했던 김영하 작가의 책 <여행의 이유>가 떠올랐습니다. 다시 펼쳐보고 싶어지네요.제가 가볍게 서평한 글도 있으니 링크를 같이 덧붙여봅니다.여행이야기?? 여행이야기!! 처음 이 책을 받았을 때 내가 이 책에 기대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박학다식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