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출금리 및 수신금리 지속적 상승 중 가계 및 기업에 부담 (feat : 한국은행 2022년 7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

트라니의 자본주의 균형 투자 정보

자본주의 균형 호랑이니입니다.세계가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많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빨리 금리 인상 속도로 가계와 기업에게 힘든 시기가 되고 있습니다.현재 국내 금리 또한 미국의 금리를 눈치를 봐야 하는 상황에서 꾸준히 오르고 있는 상황입니다.한국 은행이 발표한 2022년 7월 금융 기관 가중 평균 금리에 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대출 금리가 빠르게 오르는 가운데 수신 금리도 상승하고 있습니다.예대 마진을 통한 은행의 수익이 좋아지고는 있지만 대출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예대 마진조차 은행의 좋은 수익률을 올릴 어려운 일이 있습니다.[수신 금리]수신 금리는 고객이 은행에 예금할 때 적용된 금리를 의미합니다. 즉 은행에 적금 예금할 때 은행에서 받을 수 있는 이자라고 생각하세요.[예대 마진]예대 마진은 예금 금리와 대출 금리 간의 차로 마진이 남는 것부터 예대 마진이라 불립니다. 즉 은행이 기업과 가계에 대출하는 대출 금리와 고객이 은행에 저축하는 적금과 예금에 대한 이자 차이에 의해서 수익을 발행하게 됩니다.[가중 평균 금리/출처:한경 경제 용어 사전]가중 평균 금리는 금융 기관의 실제의 여신 금리 동향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시중 실제의 금리는 다른 개념으로 한국 은행이 매달 발표하겠습니다. 한국 은행이 평균 금리를 산출하려면 2가지 원칙이 있습니다. 그 달 신규 취급액만을 대상으로 하며, 가중 평균이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은행 수신 중 정기 예금 수신의 비중이 높으면 그 비중만 가중치를 부여하고 평균을 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국 은행이 발표한 가중 평균 금리는 금융 기관의 정확한 현재 금리 수준 실태를 조사하는 지표로 꼽힌다. 한국 은행이 발표한 2022년 7월 금융 기관 가중 평균 금리 보도 자료입니다.

01 요약 2022년 7월중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수신금리는 연 2.93%로 전월대비 0.52%p 상승했고 대출금리는 연 4.21%로 전월대비 0.31%p 상승-2022년 7월말 잔액기준 총수신금리는 연 1.33%로 전월말대비 0.16%p 상승했으며 총대출금리는 연 3.71%로 전월말대비 0.14%p 상승 02 예금은행 가중평균금리■2022년 7월중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수신금리는 연 2.93%로 전월대비 0.93%p 상승했다.p상승, 가계대출 0.29%p 상승→대출금리와 저축성수신금리차는 1.28%p로 전월대비 0.21%p 축소■2022년 7월말 잔액기준 총대출금리는 연 1.33%로 전월말대비 0.16%p 상승, 총대출금리는 연 3.71%로 전월말대비 0.14%p 상승→충대출금리와 총대출금리차는 2.38%p로 전월말대비 0.02%p 축소

2022.07 예금은행 가중평균금리/ 한국은행

03 비은행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신규취급액 기준)■2022년 7월중 비은행금융기관은 예금금리(1년만기 정기예탁금 기준) 및 대출금리(일반대출 기준) 모두 전월대비 상승-(상호저축은행) 예금금리 0.19%p 상승-(신용협동조합) 예금금리 0.36%p 상승-(신용협동조합) 예금금리 0.24%p 상승-(상호금융) 예금금리 0.5%p 상승-(새마을금고) 예금금리 0.37%p 상승, 대출금리 0.13%p 상승

2022.07 비은행금융기관 주요예금가대출금리/한국은행04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신규취급액기준) 추이04-1. 예금은행>> 수신 및 대출금리(전체) 2006년 이후 수신금리 및 대출금리가 전진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는 2020년부터 2021년 중반까지 횡보하는 2021년8월부터 지금까지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2006년 이후 수신·대출금리 전체 추이/한국은행2006년 이후 수신·대출금리 전체 추이/한국은행2019년 이후 수신·대출금리 전체 추이 / 한국은행04-2.예금은행>> 수신금리2006년 이후 예금은행 정기예금 및 저축성 수신금리 추이/한국은행2006년 이후 예금은행 정기예금 및 저축성 수신금리 추이/한국은행2019년 이후 예금은행 정기예금 및 저축성수신금리 추이/한국은행04-3.예금은행>> 대출금리2006년 이후 가계, 기업대출 추이/한국은행2006년 이후 가계, 기업대출 추이/한국은행2019년 이후 가계, 기업주택담보대출 추이 / 한국은행05 비은행금융기관 05-1. 기관별 예금금리(정기예탁금 1년기준)비은행금융기관별 예금금리 추이/한국은행05-2. 기관별 대출금리(일반대출 기준)비은행금융기관별 대출금리 추이/한국은행본 자료는 한국은행이 발행한 2022년 7월 가중평균금리 보도자료에서 발췌 및 편집하였습니다. 본 자료의 내용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투자 활동에 대해서는 일절 책임지지 않습니다. 첨부파일(국문_보도자료)2022년7월금융기관가중평균금리_f.pdf파일다운로드내컴퓨터저장네이버 MYBOX에 저장#대출금리 #수신금리 #가중평균금리 #한국은행토라니의 자본주의 균형토라니의 자본주의 균형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