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산업현황체크

예상은 어느 정도 했는데. ESS 화재의 원인은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초기 결과가 나왔네요.업계에서도 배터리 업체, PCS/BMS/EMS 등 모듈 업체, 설치 업체 각각에 책임을 분배하는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고 들었는데…

아래 기사와 같이 배터리 내부, 외부 조건을 변경했을 때 각각 불이 붙으면… 각 업체별로 책임을 분배시켜 비용을 부담시키는 것 같네요..http://www.dailian.co.kr/news/view/792777/?sc=naverESS 제조·설치·운영 등 전반적으로 불량 전문가 ‘시설기준 미비 등 안전관리 허점이 드러났다’ 산업부, 화재 원인 발표를 6월로 다시 미루고… 업계 ‘울상’ 정부가 잇따라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가운데 ESS 제조부터 설치,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불량으로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 ESS가 배터리, 전력변환장치(PCS),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시스템통합(SI)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화재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고 원인 규명 과정에서 시설 기준 미비 등 ‘합계…’ www.dailian.co.kr 어쨌든 개인적으로는 실험실에서 ESS 화재가 실제로 재현됐다는 데 큰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원인이 나와야 대책을 만들 수 있으니까..

최근에 나온 교보증권 보고서를 보면,

  • ESS 화재 원인 6월 초 발표, 불확실성 해소와 시장 건전성 회복: ESS 화재 원인 발표에 대해 최근 미온적인 대응에 대한 언론의 질타가 있었지만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는 이에 민감하게 반박하며 적극적인 대응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그동안 배터리 유사 화재 사건 조사 기간 사례를 들며 이번 ESS 화재 사고가 복잡한 시스템과 복잡한 업체가 관련된 민감한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조사 발표 시점을 앞당겼다는 점을 들었다. 또 정부는 ESS 설치기준 개정 전이라도 절차적 지원으로 신규 발주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며, 해외 기준 등을 감안해 ESS 설치기준(전기설비기술기준) 개정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지난 6월 정부의 보안된 안전규정 발표 시 3분기로 연기된 대기수요가 반영돼 장기적으로 ESS 시장 건전성을 회복하는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번 발표를 통해 정부가 할 일을 하고 있으며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그럼에도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6월 초에는 어떤 결과라도.. 좀 나올 것 같아요.

그리고 더 눈길이 가는 데이터가 있었는데.. 아래와 같이 설치 비중은 삼성이 약 65%, LG가 35% 정도인데.. 실제 화재는 LG가 55%, 삼성SDI는 32% 비율로 LG화재가 좀 이상할 정도로 많네요.

결론은..-실험실에서 화재가 재현됐기 때문에 각 분야에서 필요한 대응책이 구체적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정부가 그나마 심각성을 갖고 대응하고 있어 6월 초 발표에서 어느 정도 결론은 날 것으로 보인다. (ESS 발주가 가능할 정도까지는..) – LG화학, 삼성SDI 모두 ESS용 셀 or 모듈에 추가 장치가 필요해 보이기 때문에 ESS용 배터리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