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염의 증상과 원인, 치료방법

입안을 봤을 때 편도 주위의 입안이 붉게 충혈되고 편도선이 커지면서 하얀 삼출액이 묻어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면 편도염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편도염의 증상과 원인, 치료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편도염은 편도염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편도선은 입과 코로 들어오는 항원에 대해 반응하며 주로 점막 표면을 방어하기 위해 항체를 만들어 분비하는 조직입니다.

이러한 편도선은 출생 시부터 커지기 시작하여 면역학적으로 4~10세에서 가장 활발하였으나 사춘기 이후에는 점차 퇴화됩니다.

편도는 구개 편도로 입안을 보았을 때 목젖 양쪽에 둥글게 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이외에도 혀 뒤쪽에 불규칙한 형태의 설편도가 있고, 목젖과 연수개 뒤쪽에 콧구멍이 나는 곳 주위에 인두편도 혹은 아데노이드라고 불리는 편도조직이 있으며, 귀와 연결되는 통로인 이관의 개구부 주위에 이관편도가 있습니다.

그들은 코와 입으로 들어오는 통로를 둥글게 감싸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어 공기로 들어오는 항원에 대해 반응합니다.

편도선은 이렇게 직접 노출된 항원을 조직 내로 유입시켜 면역글로불린 A를 만들어 분비합니다.

편도염의 원인 및 증상 1. 급성 편도염의 양측 편도염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원인균은 베타 용혈성 연쇄구균이지만 포도상구균이나 폐렴구균 등 다양한 원인균이 존재하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임플 바이러스, 코키사키 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도 편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은 세균의 독성과 환자의 저항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대부분 갑자기 시작되는 고열과 오한이 있은 후 목이 아픈 증상이 발생하고 음식을 삼킬 때 아픈 통증이 있으며 두통, 전신 위약, 관절통 등의 전신증상이 함께 나타나 4~6일 후에는 호전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2. 만성 편도염 급성 편도염이 반복되는 경우 혹은 급성과 같은 증상은 없더라도 지속적으로 편도염으로 불편한 경우를 만성 편도염이라고 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만성적인 인후통입니다.그 외, 연하 장애가 나타나거나 입냄새를 호소하기도 합니다.

3. 편도결석 성인에게 많으며 인후통과 이물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입안에서 악취가 나고 입안에서 냄새가 나쁜 흰 덩어리가 튀어나온 적이 있다고 말하며, 이때 편도선을 자세히 보면 흰 덩어리를 관찰하기도 합니다.

4.구개편도와 아데노이드비대증 아데노이드는 만 3세경에 가장 크기가 커지고, 구개편도선은 만 5세경에 가장 크고, 12~13세 이후에는 퇴화되어 잘 보이지 않습니다.

비정상적인 편도 혹은 아데노이드 비대의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반복되는 감염에 의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아데노이드 비대증이 오래 지속되면 코가 넓어지고 코입술 주름이 없어지며 윗니 앞니가 튀어나와 항상 입을 벌리고 있는 특징적인 얼굴 형태를 보여줍니다.

편도염 치료 보존적 치료물을 충분히 마시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며, 양치질 등을 통해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필요에 따라 해열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식사를 하지 못해 탈수가 심하고 돌봐줄 사람이 없거나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체로 입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편도선수술1) 편도수술 적응증·재발성 삼출성 중이염에 따른 아데노이드 비대증·비강기도 폐색·수면무호흡증을 일으킬 때·재발성 편도염·편도비대에 의한 치아 부정교합, 안면발달장애·편도주위농양 등의 합병증을 동반할 때·편도 악성종양이 의심될 때

2) 수술방법 전신마취 아래 입안을 통해 양쪽 구개편도와 아데노이드를 적응증에 의해 제거합니다.

아데노이드는 직접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거울이나 내시경을 이용하여 관찰하면서 아데노이드를 잘라낼 수 있도록 휘어진 수술 기구를 이용하여 제거합니다.

최근에는 전기 소독기, 고주파 제거기, 혹은 작은 드릴 등의 기구로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