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의 경우 신체적으로 매우 약할 뿐만 아니라 아픈 곳이 있어도 의사표시를 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모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특히 아이를 목욕시킬 때나 기저귀, 갈아입을 때 배꼽과 사타구니 주변이 부어오르거나 크기가 커져 작아지는 증상이 나타나면 소아탈장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소아탈출증은 신생아, 소아와 같은 어린이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 중 하나로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진단해야 합니다. 오늘은 소아 탈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아디스크란?
소아 디스크는 선천적, 후천적 원인에 의해 배의 장기가 제자리에 있지 않은 곳으로 빠지는 증상입니다. 배 안쪽의 복벽을 구성하는 근육, 근막 등의 조직에 구멍이 생기면 뱃속의 장기가 이 구멍에서 나옵니다. 신체 부위가 돌출되어 보이거나 장기가 손으로 닿거나 주로 사타구니나 배꼽에 많이 발생합니다.
디스크류서혜부서혜부서혜부서혜부서혜부
서혜부 디스크는 전체 디스크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일입니다. 보통 조산이나 저체중 어린이의 경우가 많습니다. 사타구니 부위에 돌출된 부분이 보이면 서혜부 탈장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소아에게 발생하는 경우 비정상적인 구멍을 통해 창자가 빠져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남아 서혜부 헤르니아 원인
서혜부탈출증은 신체구조적으로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의 원인이 다릅니다. 특히 서혜부탈출증은 남아에게서 더 많이 발생합니다. 태아 때 뱃속에 존재하는 고환이 사타구니에서 음낭에 이르는 통로를 타고 내려와 자리를 잡습니다. 이 때 통로가 제대로 닫히지 않으면 여기가 탈장 구멍이 되어 탈장이 발생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사타구니 한쪽 또는 양쪽이 튀어나오고 △배에 힘을 주면 더 뚜렷하고 단단하게 닿으며 △탈장이 음낭까지 내려가 있으면 한쪽 음낭이 커 보이는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또한 남아의 경우 음낭에 물이 고이거나 잠복 고환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여아서혜부헤르니아 원인
여아의 경우 생후 3개월 미만의 신생아에게 나타날 확률이 높은데요. 자궁을 지탱하고 있는 힘줄의 하나인 원인대가 골반뼈에 고정되기 위해 내려오는데, 이때 내려오는 길의 복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을 경우 탈장혈이 되어 탈장으로 이어집니다. 1세 이하의 경우 난관이나 난소가 탈장의 구멍을 통해 빠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주요 특징으로는 일반 탈장 증상과 비슷하나 돌출된 부위에 닿을 때 둥근 구슬 같은 것을 만지는 증상이 있습니다. 남아와 달리 여아는 보호자가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배꼽 헤르니아
배꼽 주변의 복벽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힘을 주거나 우는 사이에 디스크가 생기면 미숙아 또는 저체중아, 다운증후군, 갑상선기능저하증을 가진 아동에게 흔히 발생하는데 건강한 소아에게도 잘 발생합니다. 1~2년 이내에 자연 폐쇄되는 경우가 많으나 5세 이상까지 증상이 사라지지 않고 감쇠증상이나 괴사가 발생할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복벽 탈장
배꼽 아래 근막이 아닌 다른 위치의 근막이 가라앉고 복압이 올라갈 경우 이 부위가 탈장하여 통증이 생깁니다. 5세 이내에 자연 완치될 수 있지만, 문제가 되는 복벽의 크기가 너무 크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소아 디스크 진단과 치료법
소아탈장을 그대로 두면 탈장된 장기가 탈장 구멍에 끼여 뒤틀리고 졸린 감쇠증상으로 혈액순환과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괴사를 유발하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악화되면 반드시 탈장된 장기를 절제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소아 탈장이 진행된 경우 부풀어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지만 탈장 구멍만 있는 경우에는 찾기 어렵기 때문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확진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증상이 만약 심각하다면 신속하게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은데요. 소아탈장 치료법은 수술치료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수술로 탈장을 일으키는 복막주머니를 묶어주어야 합니다. 소아의 경우는 전신 마취가 필요하므로 생후 3개월 이후에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소아 탈장은 관찰만 잘하면 충분히 발견 가능한 증상이며 탈장이 의심되면 병원에서 정확한 검진이 필요합니다. 자녀가 탈장 수술을 받은 경우에는 수술 전후, 자녀에게 불쾌감을 나타내지 않는지 살펴보며 컨디션 관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술 후 구토, 심한 통증, 발열이 있으면 즉시 병원에 내원할 것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