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봐_문학의 거리_심채경 작가 천문학자는 별을

재미있는 에세이를 발견했다. 별을 보지 못한 천문학자

재미있어서 잘 읽었다. 지난달에 읽고 혼자 보내는 주말의 여유를 느끼면서 2번 읽었다.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제목에서 느껴지는 재치.나는 이런 종류의 유머를 좋아한다.나를 좀 웃게 해주는 이 제목은 누가 지었을까? 작가가 직접 만든 것일까.책을 다 읽고 나니 제목은 작가가 지었다는 확신에 가까운 느낌이 들었다.

작가는 재치있는 글을 쓰는 사람이다. 뼈아프게 현실적이었지만 얼굴을 들어 웃기는 글이었다. 이런 글을 쓴 사람이 천문학자라니! 작가가 돼도 될 것 같아물론 저자가 천문학자라는 점에 이끌려 그런 사람이 한국에도 실제로 있구나!라는 느낌으로 선택한 책이었다. 다른 사람들의 생활상을 들여다보는 것. 요즘 내가 가장 즐겨 읽는 책은 이런 것들이다.때로는 독특한 직업에 이끌려 선택하고, 이것이 정말 출간된 책인가 하면 글이 엉망인 책을 만나 당황하기도 하지만 말 그대로 듣기만 하는 직업인의 삶을 이야기로 풀어내는 것은 즐겁다.

작가가 프롤로그에서 천문학을 선택한 우연 같은 이야기를 전개했지만, 나는 그녀의 삶 속에 빨려 들어가 나로서는 우연보다는 운명처럼 보이는 장면을 만났다. 한 문장이 책 속에서 미간에 떠올랐다.

그런 사람들이 좋았어 남들이 보기에 저게 대체 뭘까 하는 것에 즐겁게 몰두하는 사람들. 남에게 해를 끼치거나 정치적 싸움을 만들어 내지 않는, 대단한 명예나 부가 따라오는 것도 아니고, TV나 휴대전화처럼 보편적인 삶의 방식을 바꾸는 영향력을 가진 것도 아닌, 그런 일에 열정을 바치는 사람들.프롤로그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에서

그녀가 반해버린 그런 사람들. 그녀는 그녀를 좋아했던 그런 사람이 되었을까.칠판에 별을 그리며 눈을 반짝이고 있을까. 그럴 것 같았어.

에세이인데 목차가 너무… 이과적이다하하하. 로맨틱 프롤로그를 쓰며 1부가 ‘대학의 비정규직 행성 과학자’다.책을 들고 멍하니 웃다가 옆구리를 찔린 것 같았다. 이… 박사님이 에세이에서 플롯을 잘 잡으셨군요!

총 4개 파트에서 1부는 대학의 비정규직 행성 과학자, 2부는 이과형 인간입니다, 3부는 매우 짧은 천문학 수업, 4부는 모두 태양계 사람들에 의해 짧은 글이 나뉜다. 어떻게 묶였는지 대충 알 것 같기도 해.천문학자들이 자신의 삶을 꺼내 요약해 놓았겠지만 아무래도 과학자들이 출연하는 SF드라마의 기-승-전-결을 보는 듯하다.

29개의 이야기 중 가장 좋아하는 것은 <실록 베리에이션>, <최고의 우주인>, 그리고 <창백한 푸른 점>이다.

실록 바리에이션을 읽으면서 나에게도 이런 강좌를 들을 기회가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우주의 이해라는 과목명은 듣기만 해도 설레기도 하고. 내가 다닌 대학에서도 교양과목으로 이런 강의가 있었던 것 같다. 당시 있었더라도 선택적으로 묻지는 않았을 것이다. 인문대와 자연대가 서울과 수원으로 나뉘어 있어 수원캠퍼스로 가야만 들을 수 있는 이른바 자연계열 수업은 수강 신청 바구니에 넣은 적이 없다.학부생들이 조선왕조실록을 뒤지며 지구기후변화 기록을 찾아 비교하고 소논문을 썼다는 게 신선했다. 이과생은 다 이런 능력자인가? 어떻게 같은 것을 보고도 이렇게 다른 생각을 확장할 수 있을까? 나라면 잘 알려지지 않은 왕을 하나 골라 그에 대한 역사를 기반으로 한 퓨전 사극 이야기를 상상했을 텐데. 그녀는 그 무렵부터 박사가 될 자질이 있었을 거야.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하지?그녀가 조선왕조실록에서 기후에 대한 기록을 발견했다는 대목에서 잠시 동안 내가 본 조선왕조실록이 뭐였지? 나는 그런 일을 본 기억이 없다!”며 조선왕조실록을 통독한 것으로 착각했다. 나는 다만 조금 두꺼운 『한 권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이라는 풀뿌리 요약을 본 것을 천천히 깨달았다. 제대로 보려면 그녀처럼 원본을 봐야하는거야?

최고의 우주인을 보고 의외의 사실에 놀랐고 또 놀랐다.이소연은 원래 예비 우주인이었다. 한국에서 처음 우주를 비행할 사람으로 결정된 사람은 체격도 좋고 매우 용맹스러워 보여 나중에 우주인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면 직접 주인공으로 출연해도 좋을 것 같은 사나이 다카야마였다. 한국에서 손꼽히는 대학과 직장을 다닌 수재에 아마추어 복싱 선수였을 만큼 체력도 좋아 높은 경쟁률을 뚫고 우주인으로 선발됐다. 그 옆에 여성후보가 함께 있는 것은 국민에게 참 좋았다. 우주인 선발 과정이 남녀 차별 없이 공정했고 그것이 변화된 한국 사회를 반영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었다. 비행을 앞두고 갑자기 우주인이 바뀔 때까지는.우주인이 사용하는 물건은 이미 화물로 보내진 뒤였다고 한다…. 이소연은 잠자는 시간도 아껴 18가지 실험을 했고 뜻대로 되지 않는 실험을 놓고 며칠을 고민했다. 러시아 측이 실험이 너무 많아 줄이라고 요청할 정도로 무리한 일정이었다. 그것을 우주인이 해낸 것에 대해서는 아무도 언성을 높여 칭찬하지 않았다.

이소연이 탄 귀환 캡슐은 궤도를 이탈해 화염에 휩싸이는 바람에 통신도 두절된 채 거의 수직으로 카자흐스탄 평원에 실렸다. 당황한 그곳 주민의 도움으로 귀환 캡슐에서 탈출해 구조대가 오기까지 몇 시간 동안 동료와 함께 목숨을 부지해야 했던 극적인 이야기는 영화나 드라마도 지겹도록 재생산되는 대신 아무도 건네주지 않는 책장처럼 홀로 미뤄질 뿐이었다.<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에서 우주인 이소연 씨에 대한 이야기는 가끔 뉴스를 통해 접하곤 했다. 그녀가 유학 중 먹튀라고 비난받았을 때 나는 어떤 기분이었을까. 아마 뉴스가 의도했던 것 이상은 아니었을 것이다. 곳곳에서 크게 잘린 채 갖고 있는 정보로 나는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을 쉽게 판단해 버렸다.여성과 남성에 대한 차별은 이 책의 상당한 지면을 차지한다. 남성 천문학자였다면 몰랐을 과학계의 성차별을 확실히 알 수 있었다. 그것은 세계 어디에나 존재함을 절감하는 순간이었다. 아마도 그래서 이 이야기는 더 기억에 남았을지도 모른다.

창백한 푸른 점을 읽으며 보이저호의 탐사활동에 나도 모르게 가슴이 찡했다. 지구로부터의 미션을 수행한 후의 그의 길에 대해서. 단지 사진을 찍고 전송하는 임무를 맡은 기계 덩어리였지만 어쩐지 생명을 가진 것처럼 느껴졌던 것은 저자가 정성껏 이 글을 썼기 때문일 거라고 생각한다.

보이저 1호의 마지막 관측 대상이 타이탄이었던 것은 아니다. 목표했던 모든 천체를 방문한 뒤 정처없는 여행을 떠나면서 보이저는 시선을 돌려 지구를 바라봤다. 그것은 위험한 일이었다. 태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보이저가 보기에는 지구의 바로 근처에 태양이 있었다. 지구의 사진을 찍으려다, 잘못해서 카메라의 시야에 태양이 들어오면 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게다가 지구와 교신하는 안테나는 탐사기의 후부에 붙어 있어 고개를 돌리는 동안에는 안테나가 지구의 정반대쪽을 향하므로 신호의 교환을 할 수 없다. 지구 사진을 찍은 뒤 다시 원래 자세로 돌아가지 않으면 보이저를 영원히 잃게 된다. 캐롤라인 포코와 칼 세이건이 이 기막힌 아이디어를 처음 제안했을 때 미 항공우주국의 결정권자와 보이저 담당 엔지니어들은 고개를 저었다. 모두를 설득하는 데만 78년이 흘렀고 그러는 사이 보이저와 지구 사이의 거리를 점점 넓혔다. 보이저의 과학 탐사가 모두 끝난 후에야 겨우 고향에 대한 위험한 시험이 허용되었다. 너무나 멀어지기 직전에 찍힌 사진의 단 하나의 픽셀에 지구라는 ‘창백한 파란색 점’이 찍혔다.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에서 보이저호가 1호와 2호라는 것도 처음 알았고 1호가 이름과 달리 더 늦게 출발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그런데 탐사선의 드라마틱한 지구촬영기가 서글프게 느껴진 것은 이제 주어진 탐사를 하지 않아도 되지만 가벼워진 만큼 어딘가 쓸쓸한 그의 자유유영이 쓸쓸해 보였기 때문이다.처음부터 그런 감정을 느낄 존재는 아닐 텐데.

온화한 천문학자의 하루하루는 조용히 나의 하루에 물결을 일으켰다.

검은 밤하늘에 점점이 박힌 별처럼 자리를 지키고 있는 그를 계속 응원하고 싶다.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내가 읽은 책 #심채경작가 #문학마을 #취미생활 #책읽는하루

error: Content is protected !!